기본연구과제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방자치>지방행정일반
기본보고서
지방자치단체 고령자정책 개선방안 : 장년층 생애재설계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visibility 41,610 file_download 2,448
영문제목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Elderly Policy in Local Government: Focused on the Life Redesign Assistance Program for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
---|---|
연구자 | 김대욱,손화정 |
발간연도 | 2019 |
다운로드 | 지방자치단체 고령자정책 개선방안 : 장년층 생애재설계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영문요약expand_more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고령자정책 중에서 장년층 생애재설계 지원사업에 초점을 두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장년층의 인구증가와 함께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사업의 필요성 부각, 장년층의 특수한 성격과 욕구에 맞는 정책사업의 필요, 지방자치단체 차원 정책추진의 실효성 등에 기반한 것이다. 연구내용은 관련 이론과 제도 및 정책의 검토, 공급자와 수요자에 대한 설문조사, 주요사례에 대한 분석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관련 이론 및 제도와 분석틀을 논의한다. 장년층 생애재설계 사업분석을 위한 분석체계의 도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를 위한 기반으로 사업평가방법론, 장년층 및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및 욕구, 생애재설계 및 앙코르커리어의 개념을 검토하였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 및 사업을 점검하였다. 분석틀은 공급자측면과 수요자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공급자측면은 재정사업자율평가지표에 근거하여 사업계획, 관리, 성과평과 및 환류로 구성하였고, 수요자측면은 사업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와 서비스의 질을 분석항목으로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공급자와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공급자의 사업제공과 수요자의 사업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사업비중 조정, 사업의 유사 및 중복성 문제에 대한 대응, 명확한 성과지표의 마련, 인력과 조직의 확보, 사업에 대한 적절한 성과평가, 적극적인 사업의 홍보, 접근편의성 제고, 서비스의 전문성 제고 등이 도출되었다. 4장에서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장년층 생애재설계 지원사업에 대한 심층적 사례분석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의 경우 사업의 계획과 관리 및 성과평과에 있어 전반적으로 우수하게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는 선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인 운영에 그치고 있어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5장에서는 분석내용을 통한 개선방안을 사업단계별, 기타 개선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계획단계에서는 사업 목적의 명확한 규정, 지역주민의 수요 반영, 사업내용의 중복성 검토, 적절한 사업내용 구상, 효율적 추진방식 설정, 합리적이고 명확한 성과목표치 설정이 필요하고, 집행 및 관리단계에서는 조직과 인력의 확충, 사업 모니터링과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며, 성과평가 및 환류단계에서는 적절한 성과평가 및 평가결과의 개선반영 강화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기타 개선방안으로는 사업 핵심부처 지정, 사업관련 설명회 개최, 홍보강화, 광역과 기초 간 역할정립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관련 이론 및 제도와 분석틀을 논의한다. 장년층 생애재설계 사업분석을 위한 분석체계의 도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를 위한 기반으로 사업평가방법론, 장년층 및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및 욕구, 생애재설계 및 앙코르커리어의 개념을 검토하였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 및 사업을 점검하였다. 분석틀은 공급자측면과 수요자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공급자측면은 재정사업자율평가지표에 근거하여 사업계획, 관리, 성과평과 및 환류로 구성하였고, 수요자측면은 사업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와 서비스의 질을 분석항목으로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공급자와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공급자의 사업제공과 수요자의 사업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사업비중 조정, 사업의 유사 및 중복성 문제에 대한 대응, 명확한 성과지표의 마련, 인력과 조직의 확보, 사업에 대한 적절한 성과평가, 적극적인 사업의 홍보, 접근편의성 제고, 서비스의 전문성 제고 등이 도출되었다. 4장에서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장년층 생애재설계 지원사업에 대한 심층적 사례분석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의 경우 사업의 계획과 관리 및 성과평과에 있어 전반적으로 우수하게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는 선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인 운영에 그치고 있어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5장에서는 분석내용을 통한 개선방안을 사업단계별, 기타 개선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계획단계에서는 사업 목적의 명확한 규정, 지역주민의 수요 반영, 사업내용의 중복성 검토, 적절한 사업내용 구상, 효율적 추진방식 설정, 합리적이고 명확한 성과목표치 설정이 필요하고, 집행 및 관리단계에서는 조직과 인력의 확충, 사업 모니터링과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며, 성과평가 및 환류단계에서는 적절한 성과평가 및 평가결과의 개선반영 강화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기타 개선방안으로는 사업 핵심부처 지정, 사업관련 설명회 개최, 홍보강화, 광역과 기초 간 역할정립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plans by focusing on the life redesign assistance program for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among various elderl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The necessity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growing population of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and the need for support projects for them, the special nature and needs of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and the effectiveness of local governments. The study consists of a review of relevant theories, institutions and policies, surveys of suppliers and demanders, and analysis of key cases and details are as follows.
Chapter 2 discusses relevant theories and systems and analytical frameworks. Focusing on the derivation of the analytical system for the analysis of the life redesign assistance program of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the characteristics and desires of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and the baby boom generation, were reviewed as a basis for the analysis of the life redesign assistance program of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It also inspected policies and project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analysis frame was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supplier side and the demand side. The supplier side consisted of program plan, management, performance assessment and feedback; while the demand side derived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 as analysis items. Chapter 3 analyzes the results of surveys of suppliers and demanders and gives implication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pplier's program provision and the demander's program priorities, so it was derived by adjusting the proportion of the program to compensate for it, responding to similar and redundant problems of the program, preparing clear performance indicators, securing personnel and organizations, evaluating the project appropriately, promoting the project actively,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the service, and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service. Chapter 4 presented an in-depth case analysis of the life redesign assistance program for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t the cente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performing well overall in the planning,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ject. However, despite leading efforts, other local governments only operated part of the project,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supplementation. Chapter 5 presents improvement plans through analysis contents divided into project stages and other improvement measures. In the planning stage,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definitions for program purposes, reflect the demand of local residents, review the redundancy of program contents, set proper project contents, set up efficient implementation methods, set reasonable and clear performance targets, and to exp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onitor the project and properly deal with problems in the execution and management stages, and to reinforce the need for improvement of appropriate performance and evaluation result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phase. Other improvement plans included designating key ministries, holding project-related briefing sessions,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and establishing roles between metropolitan and basic local governments.
Chapter 2 discusses relevant theories and systems and analytical frameworks. Focusing on the derivation of the analytical system for the analysis of the life redesign assistance program of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the characteristics and desires of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and the baby boom generation, were reviewed as a basis for the analysis of the life redesign assistance program of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It also inspected policies and project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analysis frame was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supplier side and the demand side. The supplier side consisted of program plan, management, performance assessment and feedback; while the demand side derived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 as analysis items. Chapter 3 analyzes the results of surveys of suppliers and demanders and gives implication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pplier's program provision and the demander's program priorities, so it was derived by adjusting the proportion of the program to compensate for it, responding to similar and redundant problems of the program, preparing clear performance indicators, securing personnel and organizations, evaluating the project appropriately, promoting the project actively,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the service, and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service. Chapter 4 presented an in-depth case analysis of the life redesign assistance program for the people 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t the cente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performing well overall in the planning,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ject. However, despite leading efforts, other local governments only operated part of the project,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supplementation. Chapter 5 presents improvement plans through analysis contents divided into project stages and other improvement measures. In the planning stage,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definitions for program purposes, reflect the demand of local residents, review the redundancy of program contents, set proper project contents, set up efficient implementation methods, set reasonable and clear performance targets, and to exp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onitor the project and properly deal with problems in the execution and management stages, and to reinforce the need for improvement of appropriate performance and evaluation result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phase. Other improvement plans included designating key ministries, holding project-related briefing sessions,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and establishing roles between metropolitan and basic local governments.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