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과제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역발전>지역개발
기본보고서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한 도시개발사업 평가지표 연구
visibility 40,418 file_download 2,452
영문제목 | A Stud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Consider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
---|---|
연구자 | 송지영 |
발간연도 | 2021 |
다운로드 |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한 도시개발사업 평가지표 연구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영문요약expand_more
2020년도 연구에서 균형발전에의 기여도가 큰 사업으로 선정된 산업단지와 도로부문에 대해 지역별 수준 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종합화하여 해당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 수행시 별도의 균형발전 가치를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면 금년도 연구에서는 그 대상이 도시개발사업이다. 도시개발사업은 도로나 산업단지와 달리 지역간 균형보다는 지역내 균형이 보다 중요하고 사업추진 목적이 다양하여 분석의 대상과 목적,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사업 시행으로 인해 미리 선정한 평가지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여 정책결정가가 해당 도시개발사업의 시행으로 해당 지역의 난개발이 완화되는지, 주거수준이 나아지는지 등을 판단하는데 정량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새로운 균형발전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LIMAC의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조사의 분석과정에서 기반시설용지가 제외됨에 따라 기반시설을 많이 공급할수록 경제성과 재무성 결과가 오히려 낮아지는 문제점을 완화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난개발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기반시설을 충분히 확충하지 않고 시가지면적(가구수)이 증가되는 것”으로 내리고, 분석의 대상을 ‘기반시설의 확충을 포함한 주거위주의 도시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도시개발사업의 필요성은 기반시설의 과부족으로 판단하며 이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던 난개발 지표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주거수준 관련 지표는 주택수급 및 노후도 관련 지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난개발 지표는 ①가구수 대비 기반시설 면적(HSOC), ②시가지면적 대비 기반시설 면적(USOC)지표를 선정하였고 가구수 대비 시가지면적(HUA)는 보조지표로 선정하였다. 주거수준 지표는 양적지표로 ①주택보급률, ②인구천명당 주택수를 선정하였고 질적지표로 ③노후주택비율, ④1인당주거면적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주거수준과 연계된 지표가 아니라 주거형 도시개발사업의 분양 risk를 감안하기 위하여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미분양관리지역지정빈도를 부가지표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지표별 분석을 통해 지역의 난개발 및 주거수준 유형화, 그리고 종합지수화를 통한 순위를 분석하였다. 난개발의 유형은 지표가 2개이므로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때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난개발의 개선이 필요한 유형은 B,C,D 유형이 된다. 주거수준 유형은 지표가 4개이므로 모두 16개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16개의 유형은 다시 양호 등급과 보통 등급, 불량 등급으로 구분하고 불량 등급이 본 연구에서 관심을 두는 주거수준의 개선이 필요한 대상이다.
종합지수는 난개발의 경우 동일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주거수준의 경우 시군구 별로 지표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 도시지역 특성을 갖는 ‘시’, ‘구’와 비도시지역 특성을 갖는 ‘군’을 구분하여 가중치를 차별화하였다. 도시지역 특성을 갖는 시와 구는 양적지표가 열악하므로 양적지표에 보다 큰 가중치를 두고 비도시지역 특성을 갖는 군은 질적지표가 열악하므로 질적지표에 보다 큰 가중치를 둔다. 다음으로 난개발 및 주거수준 유형화, 종합지수에 따른 순위 검토 등을 통해 ‘주거형 도시개발사업 필요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이때 동종자치단체별로 선정하여 각 지역의 고유특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균형발전’이라는 포괄적인 정책적 아젠다 아래에서 지방투자사업, 그중에서도 ‘타당성 조사에서 어떻게 균형발전을 반영할 것인가’라는 한정적인 영역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타당성 조사의 정책적 분석에서 정량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연구로서, 앞으로도 지방투자사업의 사회적 가치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및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전년도 연구결과와 종합하여 보다 일반화된 방법론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사업 시행으로 인해 미리 선정한 평가지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여 정책결정가가 해당 도시개발사업의 시행으로 해당 지역의 난개발이 완화되는지, 주거수준이 나아지는지 등을 판단하는데 정량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새로운 균형발전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LIMAC의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조사의 분석과정에서 기반시설용지가 제외됨에 따라 기반시설을 많이 공급할수록 경제성과 재무성 결과가 오히려 낮아지는 문제점을 완화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난개발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기반시설을 충분히 확충하지 않고 시가지면적(가구수)이 증가되는 것”으로 내리고, 분석의 대상을 ‘기반시설의 확충을 포함한 주거위주의 도시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도시개발사업의 필요성은 기반시설의 과부족으로 판단하며 이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던 난개발 지표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주거수준 관련 지표는 주택수급 및 노후도 관련 지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난개발 지표는 ①가구수 대비 기반시설 면적(HSOC), ②시가지면적 대비 기반시설 면적(USOC)지표를 선정하였고 가구수 대비 시가지면적(HUA)는 보조지표로 선정하였다. 주거수준 지표는 양적지표로 ①주택보급률, ②인구천명당 주택수를 선정하였고 질적지표로 ③노후주택비율, ④1인당주거면적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주거수준과 연계된 지표가 아니라 주거형 도시개발사업의 분양 risk를 감안하기 위하여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미분양관리지역지정빈도를 부가지표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지표별 분석을 통해 지역의 난개발 및 주거수준 유형화, 그리고 종합지수화를 통한 순위를 분석하였다. 난개발의 유형은 지표가 2개이므로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때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난개발의 개선이 필요한 유형은 B,C,D 유형이 된다. 주거수준 유형은 지표가 4개이므로 모두 16개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16개의 유형은 다시 양호 등급과 보통 등급, 불량 등급으로 구분하고 불량 등급이 본 연구에서 관심을 두는 주거수준의 개선이 필요한 대상이다.
종합지수는 난개발의 경우 동일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주거수준의 경우 시군구 별로 지표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 도시지역 특성을 갖는 ‘시’, ‘구’와 비도시지역 특성을 갖는 ‘군’을 구분하여 가중치를 차별화하였다. 도시지역 특성을 갖는 시와 구는 양적지표가 열악하므로 양적지표에 보다 큰 가중치를 두고 비도시지역 특성을 갖는 군은 질적지표가 열악하므로 질적지표에 보다 큰 가중치를 둔다. 다음으로 난개발 및 주거수준 유형화, 종합지수에 따른 순위 검토 등을 통해 ‘주거형 도시개발사업 필요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이때 동종자치단체별로 선정하여 각 지역의 고유특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균형발전’이라는 포괄적인 정책적 아젠다 아래에서 지방투자사업, 그중에서도 ‘타당성 조사에서 어떻게 균형발전을 반영할 것인가’라는 한정적인 영역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타당성 조사의 정책적 분석에서 정량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연구로서, 앞으로도 지방투자사업의 사회적 가치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및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전년도 연구결과와 종합하여 보다 일반화된 방법론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In 2020 study, it was industrial complexes and road sectors, selected as projects with contribution to balanced development, that indicator was made from. This year, the subject was urban development projects. Unlike roads and industrial complexes, urban development projects required lots of effort to clearly set the subject, purpose, and scope of analysis. And it was balance within region was more important than balance between reg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how pre-selected evaluation indicator changes due to the project implementation, suggesting a new balanced development analysis method to quantitatively help determine whether sprawl and housing level improves.
In addition, the problem will be improved that the more infrastructure is supplied, the lower the economic and financial results as infrastructure sites a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process of LIMAC's urban development project feasibility study.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sprawl development is given as "increasing urban area(number of households) without sufficiently supplying infrastructure", and the subject of analysis is "residential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erefore, the necessity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is judged as excessive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and it is selected for the sprawl indicator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lso, housing level-related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housing supply and dilapidated dwelling.
As for the sprawl index, ①(HSOC)infrastructure area/number of households and ②(USOC)infrastructure area/urban area were selected, and ③(HUA)urban area /number of households was selected as auxiliary indicators. As for the housing level index, ①housing supply rate and ②number of houses per 1,000 people were selected as quantitative indicators, ③old-age housing ratio and ④housing area per person were selected as qualitative indicators.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designation of unsold management areas by HUG was selected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risk of sale-in-lots of residential urban development projects.
Next, through analysis by indicator, the ranking was analyzed through categorization of regional sprawl and housing level, including the comprehensive index. Since there are two indicators, the types of sprawl are divided into four types, and at this time, the types that need improvement in sprawl through infrastructure expansion become B, C, and D type. Since there are four indicators for the type of housing level, it is divided into 16 types in total. The 16 types are again divided into good, normal, and defective grades, and the defective grades are the subject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housing level that this study is interested in.
Overall, in the case of sprawl, the same weight was applied, and in the case of housing level, the difference in indicators was large for each si, gun, and gu, so the weights were differentiated by dividing urbanized 'si' and 'gu' with non-urbanized 'gun'. 'Si' and 'gu' place greater weights on quantitative indicators, and 'gun' place greater weights on qualitative indicators. Next, 'regions requiring for residential urban development projects' were selected through sprawl, categorization of housing levels, and review of rankings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index, and at this tim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ere considered.
This study reveals that under the comprehensive policy agenda of 'balanced development', it focuses on a limited area of local investment projects, especially 'how to reflect balanced development in a feasibility study'.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reflect social values in the policy analysis of feasibility studies, and so efforts to develop evaluation items and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social values of local investment projects will be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a more generalized methodology by synthesizing the previous year's research results.
In particul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how pre-selected evaluation indicator changes due to the project implementation, suggesting a new balanced development analysis method to quantitatively help determine whether sprawl and housing level improves.
In addition, the problem will be improved that the more infrastructure is supplied, the lower the economic and financial results as infrastructure sites a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process of LIMAC's urban development project feasibility study.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sprawl development is given as "increasing urban area(number of households) without sufficiently supplying infrastructure", and the subject of analysis is "residential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erefore, the necessity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is judged as excessive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and it is selected for the sprawl indicator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lso, housing level-related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housing supply and dilapidated dwelling.
As for the sprawl index, ①(HSOC)infrastructure area/number of households and ②(USOC)infrastructure area/urban area were selected, and ③(HUA)urban area /number of households was selected as auxiliary indicators. As for the housing level index, ①housing supply rate and ②number of houses per 1,000 people were selected as quantitative indicators, ③old-age housing ratio and ④housing area per person were selected as qualitative indicators.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designation of unsold management areas by HUG was selected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risk of sale-in-lots of residential urban development projects.
Next, through analysis by indicator, the ranking was analyzed through categorization of regional sprawl and housing level, including the comprehensive index. Since there are two indicators, the types of sprawl are divided into four types, and at this time, the types that need improvement in sprawl through infrastructure expansion become B, C, and D type. Since there are four indicators for the type of housing level, it is divided into 16 types in total. The 16 types are again divided into good, normal, and defective grades, and the defective grades are the subject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housing level that this study is interested in.
Overall, in the case of sprawl, the same weight was applied, and in the case of housing level, the difference in indicators was large for each si, gun, and gu, so the weights were differentiated by dividing urbanized 'si' and 'gu' with non-urbanized 'gun'. 'Si' and 'gu' place greater weights on quantitative indicators, and 'gun' place greater weights on qualitative indicators. Next, 'regions requiring for residential urban development projects' were selected through sprawl, categorization of housing levels, and review of rankings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index, and at this tim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ere considered.
This study reveals that under the comprehensive policy agenda of 'balanced development', it focuses on a limited area of local investment projects, especially 'how to reflect balanced development in a feasibility study'.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reflect social values in the policy analysis of feasibility studies, and so efforts to develop evaluation items and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social values of local investment projects will be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a more generalized methodology by synthesizing the previous year's research results.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