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과제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역발전>지역개발
기본보고서
인구감소 위기 대응을 위한 생활권 활성화 방안
visibility 15,551 file_download 1,395
영문제목 | Strengthening Inter-regional Partnerships for Depopulation Areas in South Korea |
---|---|
연구자 | 이원도,유수동 |
발간연도 | 2023 |
다운로드 | 인구감소 위기 대응을 위한 생활권 활성화 방안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영문요약expand_more
지역 인구감소 위기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자연적 인구감소 문제와 함께 수도권 인구과잉-비수도권의 인구과소 현상, 즉 지속적인 사회적 인구이동의 불균형으로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활력을 잃어가고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는 비수도권 지역, 이른바 지방에선 더 나은 일자리 및 생활여건을 찾아 이주하는 청년인구의 급격한 유출로 지방소멸의 현실화가 우려되고 있 ㅌ다. 지방자치단체(이후 지자체)는 인구구조 변화와 지역 간 인구이동과 같은 주요 인구지표에 대한 현황파악과 특성분석을 통해 인구감소 위기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지역별로 상이한 여건과 환경에 적합한 대응책을 마련하여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는 출산장려 및 정주인구 확보 경쟁과 같은 기존 하향식 접근방식의 인구정책에서 벗어나,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과 동법 시행령에 기반하여 인구감소지역을 지정하고, 행·재정적 특례 지원을 통해 효과적인 인구감소 위기 대응 및 적응전략을 지원하는 역할로 전환하였다. 특히 행정안전부(이후 행안부)는 이러한 정책기조를 고려하여 정주여건 개선, 생활인구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지역활력 제고를 통한 인구감소 위기 극복을 주문하고 있다. 이중 생활인구는 지역의 거주민, 외지인 체류인구, 외국인 등록인구를 포함하는 새로운 인구개념으로서, 거주지와 생활공간의 불일치 해소를 위하여 정주인구에서 특정 지역에 특정 시점별로 상이한 목적(예: 통근·통학, 관광, 휴양, 업무 등)을 지닌 체류인구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별로 다르게 맞이하고 있는 인구감소 위기에 맞춤형 정책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생활인구 확대 정책이 실효성 있게 진행되기 위해선 지역별 생활인구 특성 파악과 함께 행정경계를 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적 범위, 즉 생활권에 대한 개념정립 및 설정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이 과학적 증거를 기반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인구감소지역 특별법 시행령 제11조 생활권 설정에선 지역 생활편의 증진을 위한 시설 및 공공서비스의 공동이용 등 구체적인 연계, 협력에 관한 시행계획을 지자체 기본계획에 반영할 수 있으며, 국가는 주요 생활 인프라 확충과 서비스 운영을 우선 지원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다시 말해, 인구감소지역과 인접한 지자체간 자율적인 연계·협력체계 구축은 중앙정부로부터 추가적인 재원을 조달받을 수 있으며, 이는 지역 인구감소 문제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수립 및 집행을 가능케 한다.
하지만 제도적 기반과 달리 구체적인 생활권 설정에 대한 지침은 부재한 실정이다. 이는 인구감소지역 생활권의 개념정립이 명확하지 않으며,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지원할 것인지,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지침의 부재는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구성 및 설정에 대한 실효성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선 1) 일상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범위로서 인구감소지역 생활권의 개념을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정립하였고, 2) 기존 정책사례 검토를 통해 인구감소지역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지자체와의 자발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어느 정도의 지역 간 연계성 및 상호작용을 지닌 지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선택하였다. 이후, 3) 지역활력 제고를 위한 세부목표인 정주여건 개선, 생활인구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에 부합하는 지역 간 흐름 데이터에 새롭게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구감소지역 광역-기초생활권역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4) 설정된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즉, 생활권 특성을 고려한 지역 활성화 전략을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보완과 함께 기본특례와 생활권별 맞춤형 특례 부여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맞춤형 특례 발굴은 생활권을 설정한 인구감소지역과 다른 지자체간 연계·협력 사업 추진을 위한 제반 시설의 설치와 서비스의 운영을 우선 지원할 수 있다는 내용이 규정되어 있음에 따라 새로운 지역특화발전 전략으로서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개념정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먼저, 인구감소 문제 대응정책 변화부터 살펴보앗으며, 이후 선정된 인구감소지역의 지역 간 인구이동과 유출인구 현황분석을 통해 인구 안정성이 많이 떨어져 있으며, 더욱 심각한 위기가 전망됨을 확인하였다. 이후 생활권 개념 설정을 위한 유사개념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개념과 정책목표를 확립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선 생활권과 관련된 국내외 정책사례를 검토하여,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감소지역의 바람직한 생활권 설정방향과 범위, 활성화 정책의 추진방향에 대하여 정책사례를 분석하여 함의를 도출하였다.
4장에선 인구감소지역 지역활력 제고를 위한 정주여건 개선, 생활인구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와 같은 세부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연관된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광역 및 기초생활권을 지역 간 흐름 정도를 연계성과 상호작용의 지표로 측정하여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선 공간적 인접성과 시간적 연속성이 고려된 권역 검출을 위해 향상된 군집탐색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해당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구감소지역은 지역활력 제고 세부목표별 생활권 분석결과를 유연하게 다른 지자체와의 협력체계 구축에 필요한 정책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선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설정(안)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감소지역 지역 활성화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생활권별로 차별화된 전략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근거의 보완과 개정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제도적 보완은 인구감소지역 기본 특례와 함께 세부목표인 정주여건 개선, 생활인구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련된 특례를 생활권 특성을 고려하여 지정하는 것을 가능케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인구감소지역 생활권을 고려한 맞춤형 특례제도는 자율적, 주도적 지역발전과 국가 차원의 맞춤형 종합지원 체계 구축, 지자체간 연계·협력 활성화 등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의 제정목적과 일치하며, 특례부여에 따른 인구감소지역 활성화 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출산장려 및 정주인구 확보 경쟁과 같은 기존 하향식 접근방식의 인구정책에서 벗어나,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과 동법 시행령에 기반하여 인구감소지역을 지정하고, 행·재정적 특례 지원을 통해 효과적인 인구감소 위기 대응 및 적응전략을 지원하는 역할로 전환하였다. 특히 행정안전부(이후 행안부)는 이러한 정책기조를 고려하여 정주여건 개선, 생활인구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지역활력 제고를 통한 인구감소 위기 극복을 주문하고 있다. 이중 생활인구는 지역의 거주민, 외지인 체류인구, 외국인 등록인구를 포함하는 새로운 인구개념으로서, 거주지와 생활공간의 불일치 해소를 위하여 정주인구에서 특정 지역에 특정 시점별로 상이한 목적(예: 통근·통학, 관광, 휴양, 업무 등)을 지닌 체류인구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별로 다르게 맞이하고 있는 인구감소 위기에 맞춤형 정책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생활인구 확대 정책이 실효성 있게 진행되기 위해선 지역별 생활인구 특성 파악과 함께 행정경계를 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적 범위, 즉 생활권에 대한 개념정립 및 설정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이 과학적 증거를 기반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인구감소지역 특별법 시행령 제11조 생활권 설정에선 지역 생활편의 증진을 위한 시설 및 공공서비스의 공동이용 등 구체적인 연계, 협력에 관한 시행계획을 지자체 기본계획에 반영할 수 있으며, 국가는 주요 생활 인프라 확충과 서비스 운영을 우선 지원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다시 말해, 인구감소지역과 인접한 지자체간 자율적인 연계·협력체계 구축은 중앙정부로부터 추가적인 재원을 조달받을 수 있으며, 이는 지역 인구감소 문제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수립 및 집행을 가능케 한다.
하지만 제도적 기반과 달리 구체적인 생활권 설정에 대한 지침은 부재한 실정이다. 이는 인구감소지역 생활권의 개념정립이 명확하지 않으며,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지원할 것인지,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지침의 부재는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구성 및 설정에 대한 실효성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선 1) 일상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범위로서 인구감소지역 생활권의 개념을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정립하였고, 2) 기존 정책사례 검토를 통해 인구감소지역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지자체와의 자발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어느 정도의 지역 간 연계성 및 상호작용을 지닌 지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선택하였다. 이후, 3) 지역활력 제고를 위한 세부목표인 정주여건 개선, 생활인구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에 부합하는 지역 간 흐름 데이터에 새롭게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구감소지역 광역-기초생활권역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4) 설정된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즉, 생활권 특성을 고려한 지역 활성화 전략을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보완과 함께 기본특례와 생활권별 맞춤형 특례 부여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맞춤형 특례 발굴은 생활권을 설정한 인구감소지역과 다른 지자체간 연계·협력 사업 추진을 위한 제반 시설의 설치와 서비스의 운영을 우선 지원할 수 있다는 내용이 규정되어 있음에 따라 새로운 지역특화발전 전략으로서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개념정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먼저, 인구감소 문제 대응정책 변화부터 살펴보앗으며, 이후 선정된 인구감소지역의 지역 간 인구이동과 유출인구 현황분석을 통해 인구 안정성이 많이 떨어져 있으며, 더욱 심각한 위기가 전망됨을 확인하였다. 이후 생활권 개념 설정을 위한 유사개념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개념과 정책목표를 확립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선 생활권과 관련된 국내외 정책사례를 검토하여,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감소지역의 바람직한 생활권 설정방향과 범위, 활성화 정책의 추진방향에 대하여 정책사례를 분석하여 함의를 도출하였다.
4장에선 인구감소지역 지역활력 제고를 위한 정주여건 개선, 생활인구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와 같은 세부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연관된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광역 및 기초생활권을 지역 간 흐름 정도를 연계성과 상호작용의 지표로 측정하여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선 공간적 인접성과 시간적 연속성이 고려된 권역 검출을 위해 향상된 군집탐색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해당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구감소지역은 지역활력 제고 세부목표별 생활권 분석결과를 유연하게 다른 지자체와의 협력체계 구축에 필요한 정책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선 인구감소지역 생활권 설정(안)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감소지역 지역 활성화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생활권별로 차별화된 전략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근거의 보완과 개정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제도적 보완은 인구감소지역 기본 특례와 함께 세부목표인 정주여건 개선, 생활인구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련된 특례를 생활권 특성을 고려하여 지정하는 것을 가능케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인구감소지역 생활권을 고려한 맞춤형 특례제도는 자율적, 주도적 지역발전과 국가 차원의 맞춤형 종합지원 체계 구축, 지자체간 연계·협력 활성화 등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의 제정목적과 일치하며, 특례부여에 따른 인구감소지역 활성화 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outh Korea has been facing the grand challenges of population decline, chracterised by low birth rates and an ageing population. This issue is exacerbated by the uneven distribution of population across regions in South Korea, with urban areas experiencing overpopulation while peripheral and rural regions suffering from depopulation. To address this issue, the central government has designated 89 regions as “depopulation areas”, where population shrinking with consistent out-migration of young people to prosperous cities offering for better liveability and more job opportunities has significantly weakened local vitality and its resilience for future recovery.
The central government has recently shifted approaches from population policy to population strategy. In order to response to short-term demographic challenges and embrace longer-term adaptation to ongoing population shrinking. Designating demographic decline areas can provide speci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ased on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Demographic Decline Areas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Additionall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is actively endeavoring to address demographic challenges by improving living standards, attracting more visitors, and rehabilitating local economies through job creation initiatives. The concept of the “monthly living population“, which encompasses (registered) usual residents, (non-registered) visitors with a temporal residence, and registered foreigners, has been adopted as an alternative population outputs allowing to guide tailored policy interventions for depopulation areas. Howeve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is policy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daily activity-spaces" beyond administrative boundaries, along with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onthly living population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is approach is anchored in Article 1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pecial Act on Declining Population Areas, which enables and emphasises sub-regional partnerships between depopulation areas with additional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overall policy aim is to foster collaboration between depopulation areas to develop shared solutions to tackle population decline together.
Despite the existing institutional setting, there remains a lack of clear guidelines for policy implementation, particularly regarding the definition and support mechanisms of delinating spatial extents of depopulated area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trategy for fostering inter-regional partnerships among depopulation areas accounting for their living boundaries delineated by daily activity-spaces of their ambient populations.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1) crystallising the concept of spatial extents of depopulation area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2) assess inter-regional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levels using novel data sources to facilitate regional groupings, (3) develop an advanced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 considering spatial adjacency and temporal consistency, and (4) propose effective policy recommendations to bond sub-regional partnerships among depopulation areas.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2 provide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aily activity-spaces of monthly living populations and their role in promoting sub-regional partnerships among depopulation areas. This includes an analysis of policy changes aimed at addressing population decline and an examination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depopulation areas.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inter-regional population movement and population outflow in the selected depopulation areas confirms that population st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with a more serious crisis expected. Chapter 3 examin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to extract insights applicable to the application of daily activity-spaces of depopulation areas. In Chapter 4, analysis results has shown that grouped 1st-tier and 2nd-tier spatial extents for depopulation areas using novel data resources and an advanced community detection approach, and presente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Finally, Chapter 5 discuss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inter-regional partnerships to tackle population decline effectively.
The central government has recently shifted approaches from population policy to population strategy. In order to response to short-term demographic challenges and embrace longer-term adaptation to ongoing population shrinking. Designating demographic decline areas can provide speci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ased on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Demographic Decline Areas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Additionall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is actively endeavoring to address demographic challenges by improving living standards, attracting more visitors, and rehabilitating local economies through job creation initiatives. The concept of the “monthly living population“, which encompasses (registered) usual residents, (non-registered) visitors with a temporal residence, and registered foreigners, has been adopted as an alternative population outputs allowing to guide tailored policy interventions for depopulation areas. Howeve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is policy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daily activity-spaces" beyond administrative boundaries, along with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onthly living population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is approach is anchored in Article 1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pecial Act on Declining Population Areas, which enables and emphasises sub-regional partnerships between depopulation areas with additional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overall policy aim is to foster collaboration between depopulation areas to develop shared solutions to tackle population decline together.
Despite the existing institutional setting, there remains a lack of clear guidelines for policy implementation, particularly regarding the definition and support mechanisms of delinating spatial extents of depopulated area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trategy for fostering inter-regional partnerships among depopulation areas accounting for their living boundaries delineated by daily activity-spaces of their ambient populations.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1) crystallising the concept of spatial extents of depopulation area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2) assess inter-regional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levels using novel data sources to facilitate regional groupings, (3) develop an advanced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 considering spatial adjacency and temporal consistency, and (4) propose effective policy recommendations to bond sub-regional partnerships among depopulation areas.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2 provide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aily activity-spaces of monthly living populations and their role in promoting sub-regional partnerships among depopulation areas. This includes an analysis of policy changes aimed at addressing population decline and an examination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depopulation areas.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inter-regional population movement and population outflow in the selected depopulation areas confirms that population st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with a more serious crisis expected. Chapter 3 examin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to extract insights applicable to the application of daily activity-spaces of depopulation areas. In Chapter 4, analysis results has shown that grouped 1st-tier and 2nd-tier spatial extents for depopulation areas using novel data resources and an advanced community detection approach, and presente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Finally, Chapter 5 discuss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inter-regional partnerships to tackle population decline effectively.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